본문 바로가기

교육89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40] 관계지능을 확장해 자생력을 드넓혀라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40] 관계지능을 확장해 자생력을 드넓혀라 - 서울일보 Ⅰ.아이의 사회적 관계를 넓혀주는 ‘나’ 대화법관계 속의 자기 이해 단계를 거쳤으면 이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활동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영희의 사회성 증진을 위해 ‘적극적 경 www.seoulilbo.com Ⅰ.아이의 사회적 관계를 넓혀주는 ‘나’ 대화법 관계 속의 자기 이해 단계를 거쳤으면 이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활동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영희의 사회성 증진을 위해 ‘적극적 경청’과 ‘나 대화법’을 실시했는데, 이는 관계 속에서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들어주고, 관계를 좋게 만드는 활동이다. 관계 개선에 있어 경청은 기본이다. 하지만 자생력 프로그램에서 진행하는 적극적 경청은 상대방이 하는.. 2023. 2. 12.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9] 관계지능을 확장해 자생력을 드넓혀라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9] 관계지능을 확장해 자생력을 드넓혀라 - 서울일보 Ⅰ.공부는 잘해도 사회성은 떨어지는 아이IQ와 EQ를 넘어 SQ-spiritual quotient, 관계지수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아무리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사회이지만, 거미줄처럼 네트워크화된 사회 속에서 www.seoulilbo.com Ⅰ.공부는 잘해도 사회성은 떨어지는 아이 IQ와 EQ를 넘어 SQ-spiritual quotient, 관계지수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아무리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사회이지만, 거미줄처럼 네트워크화된 사회 속에서 관계지수는 시대적 요구사항이다. 『EQ 감성지능』에 이어 『SQ 사회지능』을 내면서 인간의 지능 변화에 지속적인 연구를 해온 심리학자 대니얼 골먼. 그 역시 .. 2023. 2. 5.
[교육칼럼] 핵가족 시대 자녀 교육에 대한 우려와 대응 [교육칼럼] 핵가족 시대 자녀 교육에 대한 우려와 대응 - 서울일보 1. 문제의 제기한 아이가 성인이 되려면 20년 이상의 양육과 교육이 필요하다. 과거 농경 중심의 정태적 사회에서는 지식 중심의 학교 교육만 받아도 잘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지식 교육은 www.seoulilbo.com 1. 문제의 제기 한 아이가 성인이 되려면 20년 이상의 양육과 교육이 필요하다. 과거 농경 중심의 정태적 사회에서는 지식 중심의 학교 교육만 받아도 잘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지식 교육은 기본이 되었고, 정서적 능력 및 사회성 발달 등이 보다 더 중요해지는 산업 사회가 되었다. 그러나 가정 및 학교의 환경은 이러한 교육적 요구와는 멀어지고 있다. 가정이나 학교가 인격적 교류에 의한 교육 활동이 축소 또는 제한.. 2023. 1. 31.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8] 감성적 창의력 내 자녀에게 교육하기 A.I는 따라올 수 없는 인간의 감성적 창의력(E-CLIP)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자생력은 어떻게 내면화하는가?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8] 감성적 창의력 내 자녀에게 교육하기 - 서울일보 인류 역사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항시 인간은 인류의 역사를 변화시키는 그 핵심에 있다. 자! 그러면 그 인간이 갖는 변화 시키는 힘은 어디서 왔나? 그 힘을 만드는 원천적인 근원은 교육으 www.seoulilbo.com 인류 역사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항시 인간은 인류의 역사를 변화시키는 그 핵심에 있다. 자! 그러면 그 인간이 갖는 변화 시키는 힘은 어디서 왔나? 그 힘을 만드는 원천적인 근원은 교육으로부터 온다. 교육은 인간을 만드는 근원적인 힘이다. AI 시대에 교육의 본질은 바로.. 2023. 1. 31.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7] 정서지능을 키워 자생력을 깊게 하라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7] 정서지능을 키워 자생력을 깊게 하라 - 서울일보 Ⅰ.실패 다스리기를 통한 EQ 향상“당신의 EQ는 어느 정도입니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이 질문은 매우 중요해졌다. 인간의 정신을 둘로 나누면 생각하는 정신과 느끼는 정신으로 www.seoulilbo.com Ⅰ.실패 다스리기를 통한 EQ 향상 “당신의 EQ는 어느 정도입니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이 질문은 매우 중요해졌다. 인간의 정신을 둘로 나누면 생각하는 정신과 느끼는 정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각하는 정신이 인지적 활동에 관여해 논리적 판단이나 분석에 주로 쓰인다면, 느끼는 정신은 동기나 충동, 기분 등 마음에 관여한다. 두 가지 정신이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 2023. 1. 24.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6] 정서지능을 키워 자생력을 깊게 하라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6] 정서지능을 키워 자생력을 깊게 하라 - 서울일보 Ⅰ. EQ 시대, 감성이 메마른 아이들감성지수 EQ는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황의 변화를 인식하고 대처 방안을 찾으려고 www.seoulilbo.com Ⅰ. EQ 시대, 감성이 메마른 아이들 감성지수 EQ는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황의 변화를 인식하고 대처 방안을 찾으려고 하며, 다양한 감정을 억제할 수 있고, 갈등 상황에서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려는 태도라 할 수 있다. 세계미래학회World Future Society는, 오늘날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것들이 미래에는 어.. 2023. 1. 15.
[교육칼럼] 청소년을 위한 가정 및 사회의 칭찬과 격려 [교육칼럼] 청소년을 위한 가정 및 사회의 칭찬과 격려 - 서울일보 1. 칭찬과 격려의 중요성교육의 중요한 원리의 하나는 아이들의 좋은 점, 잘한 행동을 발견하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그러한 행동이 발견될 때마다 칭찬 격려하거나 상을 줌으로써 그러한 행 www.seoulilbo.com 1. 칭찬과 격려의 중요성 교육의 중요한 원리의 하나는 아이들의 좋은 점, 잘한 행동을 발견하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그러한 행동이 발견될 때마다 칭찬 격려하거나 상을 줌으로써 그러한 행동을 강화(强化)해 나가는 것이다. 이를 교육학이나 심리학에서는 행동 강화의 원리라고 한다. 학교는 이러한 노력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이다. 아이들의 바람직한 행동이 가정과 시회에서도 동시에 강화될 수 있다면 학교 교육의 효과.. 2023. 1. 9.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5] 다르게 사고해 자생력을 향상하라 [AI 시대 내 자녀를 위한 교육은 자생력-35] 다르게 사고해 자생력을 향상하라 - 서울일보 Ⅰ. 다르게 사고하라‘분석적 사고’는 능동적 읽기로 사고를 연 뒤에 이어지는 활동이다. 사물의 특징을 비교 분석해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하게끔 돕고,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게 해준 www.seoulilbo.com Ⅰ. 다르게 사고하라 ‘분석적 사고’는 능동적 읽기로 사고를 연 뒤에 이어지는 활동이다. 사물의 특징을 비교 분석해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하게끔 돕고,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이는 분석적 사고 과정이 합리적 선택과 적극적 사고 능력을 키우기 때문이다. 분석적 사고를 위해 계획한 것은 ‘좋은 점 불편한 점’ 활동이다. 한 가지 사물을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인데, 컴퓨터 모니터를 .. 2023. 1. 8.
[교육칼럼] ‘상호신뢰’, 교육개혁의 출발점이자 종착점 [교육칼럼] ‘상호신뢰’, 교육개혁의 출발점이자 종착점 - 서울일보 주기적으로 어김없이 찾아오는 선거국면에서 한시적인 교육개혁의 윤곽이 이른바 교육공약이라는 이름으로 수면 위에 떠 오른다. 치열한 선거 과정을 거쳐 선택을 받은 후보자의 공약은 비록 www.seoulilbo.com 주기적으로 어김없이 찾아오는 선거국면에서 한시적인 교육개혁의 윤곽이 이른바 교육공약이라는 이름으로 수면 위에 떠 오른다. 치열한 선거 과정을 거쳐 선택을 받은 후보자의 공약은 비록 추후 국민의 동의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고 할지라도 임기 동안 교육개혁의 중요한 나침판으로 작용한다. 이제 선거가 교육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계기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선거는 팽팽하게 맞선 논란을 일거에 정리하기도 하고, 해묵은 숙원과제를 .. 2023. 1. 3.